이 자료에서는 회장 신방광의 세척 방법을 안내합니다.
회장 신방광 정보
신방광은 장의 일부를 이용해 만든 방광입니다. 방광은 요도를 통해 소변을 배출합니다.
하지만 신방광은 자연적인 방광과 기능하는 방식이 다릅니다. 수술 후 신방광은 소변을 배출하고 신체의 회복을 도와주는 카테터(얇은 관) 2개를 갖게 됩니다. 카테터 중 하나는 Foley® 카테터로, 요도를 통과해 신방광으로 소변을 배출합니다. 다른 카테터는 하복부(배)에서 신방광으로 이어지는 치골상부 관입니다(그림 1 참조).
소변은 카테터에 부착된 주머니로 배출됩니다. 낮 시간 동안에는 더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배액 주머니를 다리에 부착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주머니는 2-3시간마다 비워야 합니다. 야간에는 Cath-Secures® 또는 테이프를 사용해서 큰 배액 주머니(야간용)에 카테터를 연결하십시오. 이렇게 하면 주머니를 비울 필요 없이 밤새 편안하게 잘 수 있습니다. 소변은 두 주머니 모두 또는 1개의 주머니로 배출되어야 합니다. 어떤 주머니에도 배출된 소변이 없으면 의료진에게 연락하십시오.
신방광은 장의 일부를 이용하여 만들었으며, 장은 점액을 만들어냅니다. 이 점액이 누적되어 카테터를 막을 수 있습니다.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, 신방광의 카테터를 세척해야 합니다.
퇴원 전에 간호사가 카테터를 제거할 때까지 세척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용품을 제공합니다. 또한 제공된 용품이 부족한 경우 주문할 수 있는 공급처 이름을 알려드릴 것입니다.
자가 세척 지침
별도의 의료진 지시가 없는 한 하루 4회 자가 세척을 해야 합니다. 복부에 압박감이나 통증 또는 팽만감이 느껴질 경우, 카테터를 세척하여 이러한 증상의 원인일 수 있는 점액을 줄여보십시오. 이 조치가 도움이 되지 않으면 의료진에게 전화하십시오.
- 손 씻기. 비누와 물로 손을 씻는 경우, 양손을 물로 적시고 비누를 바른 후 15초 동안 꼼꼼히 문지른 후 헹궈줍니다. 일회용 수건으로 손을 닦고 같은 수건으로 수도꼭지를 잠급니다. 알코올 손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, 손 세정제를 바른 후 마를 때까지 양손을 문질러줍니다.
-
깨끗한 표면에 용품을 모아 놓습니다. 간이 테이블과 같은 휴대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다음과 같은 품목이 필요합니다.
- 주사기 1개(60 mL)
- 생리식염수
- 작은 용기
- 배액 주머니가 소변으로 가득 차면 변기에 버립니다.
- 식염수 병을 엽니다.
- 주사기에서 플런저를 제거합니다.
- 의자에 앉고 약 30-45도 각도로 몸을 편안히 기울입니다.
- 주사기를 깨끗한 표면에 놓고 배액 주머니에서 치골상부 관을 분리합니다.
- 치골상부 관에 주사기를 부착합니다.
- 주사기 위쪽에 60 mL의 식염수를 붓습니다. 식염수가 관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주사기와 관을 위쪽으로 들어 올립니다.
- 식염수가 신방광으로 배출된 후, 주사기를 제거하고 치골상부 관을 배액 주머니에 다시 연결합니다. 식염수가 관을 통과해 배액 주머니로 들어가는지 확인합니다. 대부분의 경우 약간의 점액이 보이게 됩니다. 이를 중력 관개라고 합니다.
- 식염수가 치골상부 관을 통과하면 곧바로 한 번 더 8-10단계를 반복합니다. 이제 치골상부 관 세척이 끝났으며 17단계로 이동해서 폴리 카테터를 세척할 수 있습니다.
- 식염수가 치골상부 관으로 흘러들어가지 않으면 점액에 의해 막힌 것일 수 있습니다. 주사기에 식염수가 남아 있으면 작은 용기에 붓고 변기에 버립니다.
- 플런저를 주사기에 다시 끼우고 30 mL의 식염수를 채웁니다. 필요하면 주사기를 깨끗한 표면에 놓습니다.
-
치골상부 관에서 배액 주머니를 분리합니다. 치골상부 관에 주사기 끝을 놓습니다. 식염수를 매우 부드럽게 관으로 밀어 넣습니다. 이를 플러싱이라 합니다.
- 부드럽게 밀어 넣을 수 없는 경우, 강제로 힘을 주지 말고 17단계로 이동해서 폴리 카테터를 세척해 보십시오.
-
주사기를 다시 당깁니다. 이를 흡인이라 합니다. 주사기에서 식염수에 점액이 섞여 있는 것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.
- 치골상부 관에서 식염수에 섞인 점액을 흡인한 경우, 주사기의 내용물을 작은 용기에 비우고 내용물을 변기에 버리십시오.
- 흡인 도중 주사기를 부드럽게 당길 수 없는 경우에도 힘을 가해 당기지는 마십시오. 주사기를 제거하고 치골상부 관을 배액 주머니에 다시 연결합니다. 일어서서 주변을 걸어다녀 보십시오. 그러면 치골상부 관에서 점액이 혼합된 배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.
- 치골상부 관을 흡인 및 플러싱할 수 있다면, 한 번 더 해보십시오. 그런 다음 치골상부 관에 배액 주머니를 다시 연결합니다. 여전히 치골상부 관을 플러싱할 수 없다면 17단계로 이동해서 폴리 카테터를 세척해 보십시오.
- 폴리 카테터를 세척하려면 5-15단계를 따릅니다. 동일한 주사기로 폴리 카테터와 치골상부 관 모두를 세척할 수 있습니다.
- 두 튜브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세척, 플러싱 또는 흡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10단계로 돌아가서 중력 관개를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. 그러면 결과가 더 나아질 것입니다. 결과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의료진에게 전화하십시오.
- 다음 세척 시 동일한 주사기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. 사용 후 매번 주사기에서 플런저를 빼내고 따뜻한 물과 비누로 주사기와 플런저를 세척하십시오. 이후 깨끗한 표면에서 자연 건조시킵니다.
- 1단계의 지침에 따라 손을 세정합니다.
집에서 스스로를 돌보는 방법
- 매일 카페인이 들어 있지 않은 8잔(1잔 당 8온스, 약 240ml)의 액체를 마시십시오.
- 카테터를 제거할 때까지 금주하십시오.
- 관 주변에서 배액이 새어나온 경우가 아니면 치골상부 관을 드레싱으로 덮지 마십시오.
- 하루에 적어도 3회는 일어나서 걸어다니십시오. 병원에서 지내던 때에 걸었던 것 이상으로 걸어다녀야 합니다.
카테터 관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면 간호사에게 요도(폴리) 카테터 관리 자료를 요청하십시오.
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으면 의료진에게 전화하십시오.
- 관 또는 카테터를 플러싱할 수 없음
- 세척 후 관 또는 카테터에서 배출되지 않음
- 어떤 주머니에도 소변이 배출되지 않음
-
세척 후 복부에 압박감이나 통증 또는 팽만감이 느껴짐
- 우선 세척을 통해, 이러한 문제의 원인일 수 있는 점액으로 인한 막힘을 줄여 보십시오.
- 38.1°C(100.5°F) 이상의 발열이 있음
- 절개부(외과적 절개)에서 고름이 새어 나옴
- 절개부 주변에 발적이 있음
- 소변에서 악취가 남
- 구토(토하는 것)와 함께 메스꺼움(토할 것 같은 느낌)이 있음
- 예기치 않은,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음
- 문의사항 또는 우려사항이 있는 경우